[아이뉴스24 김주훈 기자]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본인의 '독주 체제'를 굳히고 있다. 당내 경선은 물론, 다수 여론조사에서도 지지율을 경신하는 등 '어대명'(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)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. 공직선거법 사건의 대법원 전원합의체 회부 변수가 발생했지만, 상승세를 막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. '탄핵의 강'을 건네지 못한 국민의힘이 '반사이익'을 배가시키고 있다는 것이다.
![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 20일 울산시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'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영남권 합동연설회'에서 정견 발표를 하고 있다. 2025.4.20 [사진=연합뉴스]](https://image.inews24.com/v1/8952b7aa771ab3.jpg)
현직 도지사·친노 적자도 넘기 못한 '이재명 대세론'
최근 여러 지표로 인해 이 후보의 '어대명' 현실화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. 아직 민주당의 대선 후보가 확정되지 않았지만, 당내 득표율과 여러 여론조사에서 기록을 경신하고 있기 때문이다. 대표적 사례로는 당내 대선 후보 경선이 꼽힌다. 지난 19~20일 이뤄진 충청(대전·세종·충남·충북)과 영남권(대구·울산·부산·경북·경남) 경선 결과, 이 후보는 누적 득표율 89.56%를 얻었다. 아직 두 차례(호남·수도권) 경선이 남았지만, 이 추세는 역대 민주당 대선 경선 중 이례적으로 평가될 정도로 압도적인 승리를 이어가고 있다.
최근 당내 경선인 지난해 8·18 당대표 선거의 경우 김두관 전 의원의 약한 조직력과 인지도로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 바 있다. 하지만 현직 경기도지사인 김동연 후보와 고(故)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이자 경남도지사 출신인 김경수 후보가 등판했음에도 '이재명의 벽'을 넘지 못하고 있다. 이들은 김 전 의원보다 조직력과 인지도가 높지만, 이미 당내 지지와 대세론을 형성한 이 후보를 견제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다.
대선 40일 앞두고 '지지율 최고치 경신'
대선이 가까워질수록 민심도 이 후보에게 더욱 기울고 있다. 12·3 비상계엄 사태가 직접적으로 '이재명 대세론'에 영향을 미치진 못했다. 그러나 '대권 리스크'로 평가되는 △선거법 위반 사건 2심 무죄 △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△국민의힘 후보들의 부진 등 요소가 대선 40여일을 앞두고 지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.
특히 엠브레인퍼블릭·케이스탯리서치·코리아리서치·한국리서치가 지난 21~23일 전국 성인 10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(표본오차 95% 신뢰 수준에 ±3.1%p) 결과 이 후보의 차기 대통령 적합도는 41%로 나타났다. 김문수·홍준표 국민의힘 후보 10%, 한동훈 후보 8%, 안철수 후보 3%,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3% 순이다. 이번 이 후보의 '41% 지지율'은 전주 대비 2%p 상승한 수치로서 해당 조사 항목이 생긴 지난 1월 이후 최고치다.(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)
![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 20일 울산시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'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영남권 합동연설회'에서 정견 발표를 하고 있다. 2025.4.20 [사진=연합뉴스]](https://image.inews24.com/v1/138703c9117fcb.jpg)
이재명 체급 키우는 '尹 그림자'…사법리스크도 상쇄
정치권에선 '어대명' 현실화 가능성이 높은 이 후보의 지지율이 대선을 앞두고 상승하는 것은 이례적이지 않다고 판단한다. 최근 대법원이 이 후보의 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하면서 대선 전 판결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도 큰 문제가 아니라는 분위기다. 1심 유죄 사건이 2심에서 이례적으로 '무죄'로 바뀐 만큼, 대법원에서 결과가 뒤집힐 가능성은 적다는 주장이다. 나아가 이 후보의 지지율은 '사법리스크'가 이미 반영된 결과기 때문에 선고에 이변이 이뤄지지 않는 한 지지율 변동은 생기지 않는다는 분석이다. 그렇기에 공식 선거운동 전 지지율이 반등하는 배경에는 소위 '탄핵의 강'이 핵심 영향일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.
현재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의 12·3 비상계엄 선포 적법성 여부와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 등 사안을 두고 일관된 입장을 내지 못하고 있다. 당장 당내 유력 대권 주자인 김문수 후보는 "계엄 선포 책임은 민주당에 있다", "(탄핵 사과에 대해선) 국민이 원하면 다할 수 있다" 등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, 안철수 후보는 당내 후보를 향해 "국민 앞에 진심으로 사과하자"고 호소하는 실정이다. '윤석열 그림자'에서 자유롭지 못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차출론과 '윤어게인(YoonAgain)' 신당 창당 언급 역시도 '탄핵의 강' 폭을 넓히는 요소로 평가된다.
민주당 내에선 소위 '윤석열 그림자'가 이 후보의 지지율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다.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반감과 함께, 이들이 윤 전 대통령을 또다시 비호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불안 요소가 '최대 대항마'인 이 후보의 지지로 나타난다는 분석이다.
김경수 후보는 이날 CBS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에서 "이 후보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 결과의 1등 공신은 윤석열"이라며 "경선을 다녀 보니 국민은 여전히 내란이 끝나지 않았다는 불안감이 큰 것 같고, 이는 당선 가능한 후보에 대한 표 쏠림이 심해지는 것 같다"고 말했다.
민주당 한 관계자도 <아이뉴스24>와의 통화에서 "국민의힘 일부 후보가 '윤석열'을 계속 활용하고 있는데, 민주당 입장에선 나쁠 건 없는 상황"이라며 "(사저 정치를 하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해) 구속 프레임까지 잡기에는 진보 지지층은 좋아할 만한 사안이지만, 보수 지지층에선 탄압 프레임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애매한 것은 하지 않는 것이 맞아 보인다"고 말했다.
![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 20일 울산시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'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영남권 합동연설회'에서 정견 발표를 하고 있다. 2025.4.20 [사진=연합뉴스]](https://image.inews24.com/v1/1bb0619bc9786f.jpg)
"尹, 사실상 이재명 선거대책위원장 역할"
전문가들은 국민의힘이 윤 전 대통령과 결별하지 못하거나, 선거 국면에서 계속 등장할 경우 "윤 전 대통령이 이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 역할을 하는 것"이라고 분석한다.
장성철 공론센터 소장은 "윤 전 대통령이 이 후보 선대위원장 역할을 하면서 '이재명 대통령 만들기'에 노력하는 것 같다"며 "오히려 한 권한대행이 나오는 것보다 윤 전 대통령이 언론에 비치는 것이 국민을 화나게 하기 때문에 민주당에 도움이 되는 상황"이라고 말했다. 그러면서 "국민의힘 입장에선 '사저 정치'가 난감할 수 있지만, 감내해야 할 업보 아닌가"라면서 "그동안 견제하지 못하고 머슴처럼 지시를 따랐고, 탄핵 과정에선 대통령을 지켜야 한다는 메시지를 내는 등 감내해야 할 사안을 스스로 만들었기 때문"이라고 지적했다.
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"민주당 입장에선 대선 끝까지 윤 전 대통령이 역할을 해주길 바랄 것"이라며 "대선판에 계속 등장한다면, 무조건 이기는 선거를 더욱 쉽게 이길 판이기 때문에 경쟁을 위한 선거라고 하기에도 애매해질 것"이라고 말했다.
홍 소장은 현재 국민의힘이 윤 전 대통령 지지율 때문에 '탄핵의 강'을 넘지 못하고 있다는 관측을 반박했다. 그는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한다는 조사 대상에게 지지하는 이유를 물은 결과, △국정 운영을 잘했다 11% △국민이 뽑은 대통령을 탄핵하는 건 부적절 25% △민주당의 탄핵 방식이 부적절하다 37% △이 후보 비호감도 12% 등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. 그러면서 "현직 대통령 탄핵에 부정적인 여론은 윤 전 대통령 지지율이 아닌, 오히려 부정적인 요소로 분석해야 한다"며 "지금 국민의힘은 분석의 오류에 빠져 한 권한대행 출마나 신당 창당 등 언급이 나오는 것"이라고 지적했다.
![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 20일 울산시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'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영남권 합동연설회'에서 정견 발표를 하고 있다. 2025.4.20 [사진=연합뉴스]](https://image.inews24.com/v1/8fd4e9c1863851.jpg)
--comment--
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.
댓글 바로가기